- 개방형 미래 융합 인재 양성 플랫폼
- 미래 대학 교육의 혁신은 교육에 대한 접근성의 확대와 급변하는 사회 및 산업 환경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 사고 능력 교육 관점에서 우리 대학의 개방형 교육 플랫폼인 ITC-eLIVE와 융합교육을 접목시킴으로써 개방형 미래융합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이 그 핵심 프로그램에 있음
추진배경
-
- 현황
- 미래 산업구조 및 직업분야의 다양성 예측 및 직업직무역량과 융합역량을 갖춘 인재에 대한 요구와 교육제공의 확장성 및 접근의 편의성에 대한 요구 확대
-
- 필요성
- 미래 산업 분야 및 유망기술 분야에의 학생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적인 융합인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습 방법의 다양성 및 접근방법에서의 편의성 등재를 위한 교육 플랫폼 필요성 증가
추진방향 및 내용
3개년 계획
2D/3D 프린팅
VR/AR
디지털 콘텐츠 개발
드론/로봇 분야 프로그램
loT 분야 프로그램
우측방향 다음화살표
개방형 직업교육 플랫폼(ITC-eLIVE)
2021
ITC-eLIVE를 활용한 산업체 및 지역사회와의 공유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
2020
미래 융합인재 양성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
2019
미래 창의/융합 교육 4대 특화영역의 차별화된 교육환경 구축
- 3D 프린터 / 드론 및 로봇 / VR / loT
우측방향 다음화살표
미래융합
인재양성
프로그램 확산
인재양성
프로그램 확산
우측방향 상단 화살표
우측방향 가운데 화살표
우측방향 하단 화살표
2019년 세부계획
-
- 개방형 미래 융합인재양성 플랫폼 구축
-
- ITC-eLIVE 시스템 환경 개선
- 4대 특화영역 실습실 구축
- 2D 메이커 팩토리 구축 및 레이저커팅기 기자재 구입
- loT 실습실 구축 및 loT 기자재 구입
-
- 미래융합인재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
-
- 3D 프린팅 정규/비정규 프로그램 운영
- 온라인 공개 강좌 개발 및 운영
- 교육용 콘텐츠 개발
기대효과
-
- 정성적 기대효과
-
-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인재육성 인프라 구축
- 학생들의 직업교육+창의/융합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통한 학생 미래 취업역량 강화
- ITC-eLIVE 구축 및 실습장비 활용을 통한 지역산업 및 사회의 교육 환경 제공 및 교육 접근성 확대
-
- 정량적 기대효과
-
- 창의융합 프로그램 활성화 지표 (2019년 : 19.4점 → 2021년 : 24.0점)
- 디지털콘텐츠 개발 지표 (2019년 : 58.4점 → 2021년 : 59.0점)